1989년 NASA에서 우주정거장의 공기정화를 목적으로 식물들을 연구했는데요.
우리가 알고 있듯이 식물들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 대사를 하고 물과 산소를 배출하잖아요. 그런데 이와 더불어
공기 내에 떠다니는 벤젠, 포름알데히드 및 트리클로로에틸렌 같은 부유 독성을 상당량을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그래서 새집증후군을 유발하는 유해물질 정화에도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연구를 통해 언급된 식물들은 대다수가 열대 및 아열대 환경에서 서식하는 식물이에요.. 이 식물들은 적은 양의 빛만으로도 생육이 잘 된다는 특징이 있어요.저는 식물들이 먼지 정화를 해준다는 정도만 생각했는데 독성물질 공기정화한다는 사실에 초록이들의 강력한 생명력과 인간에게 그리고 지구의 많은 생명체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깨달았어요. 주변에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이 느껴져요.

아무튼 저도 반려식물들 키우고 있는데 동거하고 있는 반려묘들에게 무해한 식물인지 아닌지 살피게 되더라고요.. 역시나! 사람에게는 좋지만 반려동물들에게 유해한 식물들이 있었어요.
그래서 NASA가 선정한
실내공기정화 식물 중 반려동물에게 무해한 식물
들을 알아보았어요. 키우기 쉬운 것으로요. ㅎㅎ (정화시키는 공기 중 독성에 대한 설명은 맨 하단을 참고하세요)1. 아레카 야자(Dypsis lutescens, Areca palm)

저희 집에도 있고 많이들 키우고 계신 분들도 계실 거예요. 아레카 야자는 야자류 중에서 품질이 가장 뛰어난 인기 품종 중 하나이지요. 이 아이는 실내에서 키우기 좋고 잎이 예뻐서 관상용으로도 손색이 없지요. 생육이 빠른 편이고 잎이 깃털처럼 넓게 퍼지면서 자라요. 실내에서 약 1.8m 정도 자란다고 해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 자일렌&자일렌&톨루엔을 정화해준다고 해요.
*키울 때 주의점:
너무 건조하면 응애나 개각충이 생길 수 있고 잎끝이 황갈색으로 변할 수 있다고 해요.
뿌리를 습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고 겨울철을 제외하고는 비료를 정기적으로 주는 것이 좋다고 해요. 잎에 물을 분무해주면 습도도 유지하고 해충 방지도 된다고 합니다.
2. 피닉스야자 (Phoenix roebelenii, Phoenix palm)

피닉스야자는 소철과 비슷하게 생겼긴 한데 소철보다는 큰 키를 가지고 있어요. 3미터까지 자라는데 다행히 몸통은 그리 커지지 않는 것 같아요. 피그미 대추야자라고도 불리는데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실내에서 키우기 좋은 것 같아요. 피닉스 야자는 작은 꽃을 피우고 식용 가능한 열매를 맺는다고 해요. 더 좋은 것은 토양을 가리지 않고 잘 자라 키우기 쉬운 식물이라고 해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과 자일렌&톨루엔을& 정화해줍니다.
* 키울 때 주의점: 집이 좁아질 수 있으니 화분을 작게 해서 키우면 많이 커지진 않는다고 해요.
3. 모스 오키드(Phalaenopsis spp. Moth orchids)

호접란으로 알고 있는 난초의 한 속여요.. 호접란이라고 불리는 건 날아다니는 나비의 날개처럼 보이는 특징 때문이에요.. 화려한 꽃의 모양 때문에 축화화로 많이 쓰이고 있죠.
사실 난초는 키우기 어렵다고 알려져 있어서 저도 도전하기가 쉽지 않은데요. 전문가들의 말에 따르면 또 그렇게 어렵지 않다고 하네요.(전문 가니까....).(전문가니까....)
모스 오키드는 밝지만 간접적인 햇빛을 좋아한데요. 따뜻한 건 좋아하는데 직사광선에서는 타버린다고 해요. 그래서 가장 좋은 장소는 동쪽이나 서쪽으로 난 창문 옆이고 하루에 2시간 이상의 직사광선을 받지 않도록 해야 한데요. 당연하겠지만 배수가 잘 되면 되고 잘 가꾸면 계속 꽃을 볼 수 있다고 해요.
공기정화 효과: 트리클로에틸렌을 정화합니다.
* 키울 때 주의점: 흙이 마르지 않게 하고 여름 동안 액체 비료를 매월 적용하면 성장에 좋데요. 꽃이 지고 나면 따뜻하고 밝은 장소로 옮기고 여름에는 그늘진 장소로 옮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4. 덴드로비움 (Dendrobium spp. aka Dendrobium orchids)

덴드로비움은 가을에 피는 열대성 덴드로비움의 총칭하는데 나비라고도 하는 꽃 모양의 나비가 특징으로 "Butterfly Orchid Dendrobium"으로도 알려져 있다고 해요. 호접난이랑 비슷한 특징이 있어서 조사하면서 좀 헷갈렸었어요. 비슷하지만 다른 점은 나무에 기생해서 자라는 기생식물이라는 점이에요.
꽃은 겨울에서 봄이 넘어가는 시기에 피고 휴지기에 들어갔을 때는 다음 꽃을 준비하기 위해 충분한 햇빛이 필요하다고 해요. 덴드로비움 종은 두꺼운 잎을 가지고 있고 빛이 아주 강하면 녹색을 띠고 빛이 너무 약하면 짙은 녹색을 띤다고 해요. 잎의 색을 보고 일조량을 조절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흙이 말랐다 싶으면 물을 주면 되고요.. 저온을 맞이해야 꽃이 피기 때문에 가을이 지나면서 온도가 낮은 곳에 두면 된다고 해요. 물론 얼 정도의 기온은 아니고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와 자일렌&톨루엔을 정화합니다.
* 키울 때 주의점: 비료는 여름에만 주면 되고 봄이나 가을부터는 주지 말아야 해요.
5. 보스턴고사리 (Nephrolepis exaltata, Bostoniensis)

보스턴 고사리는 덩굴고사리과에 속한 양치류로 야생에서는 습한 숲 속이나 습지에서 서식하는 식물이에요.. 잎(은 50~250 센티미터까지도 자라고 깃꼴 모양(pinna)은 8 센티미터까지 성장해요. 보스턴 고사리는 잎이 아치처럼 늘어지는 게 특징이에요.
이 아이는 건조한 기후에 가장 강한 품종으로 실내에서 키우기 적당해요. 그래도 흙이 너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주어야 해요. 여름에는 많이 주고 겨울에는 성장이 멈춤으로 흙이 마르도록 두면 돼요.. 오~ 여름에만 신경 쓰면 되는 아이네요! 음지에서 잘 자라지만 실내에서 직사광선이 들지 않은 양지에서 키우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생명력이 워낙 강해서 서리를 맞아도 실내에 들여놓으면 살아난다고 해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 자일렌&톨루엔을 정화합니다.
* 키울 때 주의점: 특별히 주의할 점은 없어요.
6. 접란 (Chlorophytum comosum)

거미처럼 생겨 스파이더 플란트라고 부르기도 해요. 전 이 아이를 반려식물 명단에 올려두었어요. 잎이 너무 예쁘지 않나요? 잎은 40cm 내외로 자라고 잎이 뒤로 말려요. 다년생으로 키가 1 m 정도 자란다고 해요. 이 아이는 사암, 셰일, 돌로 나이트 또는 화강암에서 파생된 토양(화산 또는 퇴적물)에서 잘 자란데요. 이 아이의 탁월한 습도 조절과 정화능력으로 아기 방에 두는 식물로 유명하데요. 더 좋은 건 상대적으로 질병 및 해충에 강하다는 점이에요.. 빛이 없어도 잘 자라는 식물로 통풍이 잘되고 공중 습도가 있고 배수가 가 잘되고 밝은 반 그늘진 곳에서 키우면 된다고 합니다.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 자일렌&자일렌&톨루엔을 정화합니다.
*키울 때 주의점: 추위에 약해서 겨울에는 실내에 들여놓아야 하고 약간 건조하게 키우면 됩니다.
7. 대나무 야자 (Chamaedorea seifrizii, Bamboo palm)

대나무 야자는 다른 야자 종류와는 달리 낮은 빛에서도 생육을 잘해서 실내에서 키우기에 완벽한 식물이라고 합니다. 크게 신경 쓸 필요 없이 토양을 촉촉하게 유지하는 정도로만 해주는 것이 좋고 오히려 약간 건조하게 키우는 것이 좋다고 해요. 대나무 야자수는 크면서 화분을 갈아줘야 하는데 다행히 천천히 성장하므로 화분갈이를 자주 하지는 않아도 되어요. 저희 집에서도 5년째 키우는데 아직 한 번도 안 했어요.. 우리 고양이들이 잎을 계속 뜯어서 성장이 더 느려진 것 같아요.ㅎㅎ 그리고 대나무 야자수를 작게 유지하려면 화분 크기를 키우지 않는 것이 좋데요. 물론 더 키우고 싶으시다면... 모든 초록이들이 그렇듯 배수가 잘 돼야 하고 수경재배도 가능하다고 해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 자일렌&톨루엔을 정화합니다.
*키울 때 주의점: 키우기 쉬워도 따뜻한 온도에서 키우는 것이 좋아요. 겨울철에도 10°C 이상으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8. 관음죽 (Rhapis excelsa, Broadleaf lady palm)

반려묘를 키우시는 분들은 대나무야자와 함께 관음죽도 많이 키우시는 것 같아요.
관음죽은 야생에서는 자라지 않는다고 해요. 흰색 꽃을 피우고 흰색의 다육질 열매를 맺을 수 있어요. 꽃과 열매는 환경이나 종에 따라 다르다고 합니다. 이 아이는 그늘진 곳이든 햇빛이 많이 들어오는 곳이든 다 잘 자라지만 가장 좋은 건 밝지만 간접적으로 빛을 받는 것이래요. 그리고 그늘이 짙을수록 잎이 더 어두워져요. 햇빛을 더 많이 받는 곳으로 옮기면 잎이 노랗게 변하고 끝 부분이 탈 수 있는데 그럼에도 그 빛에 적응하면 타는 것이 사라진데요. 대단한 적응력이네요. 활엽수 야자수는 과습을 좋아하지 않다고 해요. 뿌리가 썩을 수도 있습니다. 약간 건조하게 키우는 것이 좋겠어요. 다만 건조 기간이 길지 않게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 자일렌&톨루엔, 암모니아를 정화합니다.
*주의할 점: 흙의 수분 상태에 주의를 기울여주세요.
9. 바버턴 베이지 (Gerbera jamesonii, Barberton daisy)

'바버턴 데이지'는 거베라(Gerbera)라고 불리는데 모습이 왠지 익숙하지 않나요? 화환을 장식하는데 가장 많이 쓰이는 꽃이 바로 거베라였어요. 우리는 화환에서만 보지만 대표적인 꽃꽂이용 꽃 중 하나로 사랑받고 있다고 하네요. 거베라는 여러해살이 식물로 민들레랑 비슷하게 잎의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굉장히 다양한 칼라를 가지고 있어요. 자생종만도 30여 종이 있지만요. 꽃은 5~11월경에 개화하기 시작하며 지름 10cm 정도의 꽃이 1개씩 피어요. 키우기는 쉬운 편이고 반 그늘이나 양지에서 키우되 직사광선은 피해야 해요. 흙은 촉촉하게 유지해야 하고요..
공기정화 효과: 벤젠, 폼알데하이드, 트리클로에틸렌를 정화합니다.
키울 때 주의점: 진딧물과 응애가 생길 수 있으니 관리가 필요하다고 해요.
10. 바나나 (Musa Oriana aka Banana)

바나나 나무라고 해서 저는 엄청 큰 나무를 생각했는데 이렇게 관상용이 있더라고요..
그래서 공간이 작지만 바나나 나무를 키우고 싶은 분들에게 흥미 있는 아이일 것 같아요. 저도요~~.
바나나 나무도 열대우림 태생이어서 햇볕을 좋아해서 최소 6시간의 직사광선을 받는 것이 좋데요. 하지만 일부 품종은 타버릴 수 있으니 잘 알아보고 그런 아이들은 반그늘에서 키우는 것이 좋겠죠! 그리고 흙과 공기 중에 충분한 수분이 필요해요. 커다란 잎이 그늘을 만들어줘서 여러 그루를 키우실 땐 군집으로 모아서 키우는 것이 좋데요.
공기정화 효과: 폼알데하이드를 정화합니다.
*키울 때 주의점: 수분을 좋아하지만 과습은 안 좋다고 하니 흙이 마르지 않는 정도만 주고 대신 분무를 많이 해주는 것이 좋데요.
공기 중 독성물질
*트리클로로에틸렌(trichloroethylene): 인간에 의해 발생되는 유해물질이다.
살충제와 곰팡이 제거제의 활성성분의 용제로 왁스, 지방, 레진 그리고 오일의 용매로 의료와 치과용 마취제, 향 함유 수지와 커피 카페인의 추출 용제로 인쇄용 잉크, 니스, 접착제, 페인트, 레카, 드라이클리닝, 얼룩제거제, 카펫 세탁제, 살균소독제, 그리고 화장품 클렌징 유액에 사용된다.
환경 중으로 방출된 99%의 트리클로로에틸렌은 이러한 사용으로 인한 것이며, 모든 트리클로로에틸렌은 변하지 않고 대기나 물로 유입된다.
트리클로로에틸렌에 의한 주된 건강영향은 중추신경계 독성, 시력장애, 피로, 오심 등의 일반적 증상이 있을 수 있으며, 드물게는 면역계통의 장애로 피부질환과 독성간염이 동시에 나타나는 스티븐스 존슨 증후군이 나타날 수 있다.
*폼알데하이드(formaldehyde)는 무색의 자극적인 가스이다. 화학식은 CH2O이며 카르보닐그룹(C=O)의 존재로 인하여 화학적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이다.
폼알데하이드는 자연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 공기에 포함된 메탄이 광화학 반응을 거쳐서 산화되면 폼알데하이드로 변하게 되며 각종 어류와 육류에도 소량 포함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폼알데하이드의 높은 반응성으로 인해 다양한 용도로 인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현재 대부분의 목재접착제, 도장 및 도료 제조에 많이 사용되고 있어 이를 이용한 가공 목재 또는 건축이나 가구 등에서 폼알데하이드가 다량 검출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자연적으로 발생되는 경우는 동식물의 대사과정, 박테리아나 인체에서 일어나는 생물학적 작용 및 햇빛에 의해서 분해되기 때문에 대기 중에는 축적되지 않는다. 하지만 인공합성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 문제인데 보통 목재제품에 쓰이는 접착제에서 많이 발생한다.
농도(0.1~3.0ppm)가 높은 곳에 오래 노출되면 눈과 코에 자극이 되어 통증을 유발하고 호흡장애에까지 이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목제제품을 구매할 때 품질표시를 잘 확인하는 것이 필요할 것 같다.
*벤젠(Benzene) : 젠은 의약품, 폭발물, 플라스틱 등 주로 다른 화학물질을 만들기 위한 전구체로 사용된다.
1950년대만 해도 휘발유에 첨가해 쓰기도 했다. 벤젠이 휘발유의 옥탄가를 높이고 노킹을 방지하기 때문인데, 요즘은 독성 때문에 벤젠을 안 넣는다. 덤으로 벤젠의 독성을 잘 알지 못했던 19세기까지만 해도 좋은 향이 난다고 이런 걸 면도크림에도 넣었다.
벤젠은 암이나 다른 질병을 일으킬 가능성이 매우 높다. 재생불량성 빈혈, 급성 백혈병, 골수 이상 등의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체 기관 중 골수 손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유명하고, 그 밖의 다른 기관(간, 뇌, 콩팥, 심장, 폐)에도 타격을 준다. 벤젠은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 공인된 물질이라,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기관인 국제암연구소(IARC)에서 1군 발암물질(암의 발생과 명백한 상관관계가 있다고 확인된 물질)로 지정했다.
현대인의 건강을 해칠 수 있는 벤젠의 주요 섭취 경로는(직접/간접) 흡연, 매연(실외에서의 호흡), 주유소 이용/근무 정도
출처 : 나무신문(http://www.imwood.co.kr)

'소소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성가득 맛있는 수제 디저트카페 (2) | 2021.12.26 |
---|---|
[여행. 출장]통영 예쁘고 아늑한 숙소 (0) | 2021.10.26 |
강남역 던킨라이브(Donkin' L!ve) 도너츠, 그 달달함 (0) | 2021.10.06 |
[산책일기]상암 노을공원 산책 (0) | 2021.09.27 |